노인 대상 디지털 기기 활용 교육법

노인 대상 디지털 기기 활용 교육법: 안전한 앱 설치와 악성 앱 피하는 방법

jhjung1720 2025. 8. 31. 06:28

생활 전반을 관리하는 중심 기기가 된 스마트폰은 이제 은행 업무를 보거나 병원 예약을 하고, 취미 활동으로 음악을 듣거나 손주와 사진을 공유하는 등 노인분들에게도 일상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도구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편리함 속에는 보이지 않는 함정이 숨어 있습니다. 바로 악성 앱입니다. 악성 앱은 겉모습은 정상 앱과 똑같이 꾸며져 있어 처음 보는 사람은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특히 노인분들은 “손주가 보내준 앱이에요”, “정부 지원금 신청하려면 설치해야 해요”라는 식의 설명에 속아 설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 피해 사례를 보면 한 70대 어르신은 ‘무료 건강 상담 앱’을 설치했다가 휴대폰에 저장된 사진과 연락처가 유출되어 가족들에게 사기 문자가 발송되는 피해를 겪었습니다. 이런 피해는 결코 드물지 않으며 점점 더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한 앱 설치 방법을 정확히 배우는 것은 단순한 선택이 아니라 노인분들의 개인정보와 재산을 지키는 필수 생활 습관입니다. 이번 노인 대상 디지털 기기 활용 교육법에서는 안전한 앱 설치와 악성 앱 피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편리하게 사용하는 앱이 올바르게 설치되었는지 안전한 출처인지 확인하는 습관은 자동차 운전 시 안전벨트를 매는 것과 같습니다. 당장은 귀찮게 느껴질 수 있지만 위기 상황에서 생명을 지켜주는 안전망이 되는 것입니다.

노인 대상 디지털 기기 활용 교육법: 앱 설치 방법

노인 대상 디지털 기기 활용 교육법 중 안전하게 앱을 설치하는 기본 원칙

앱을 설치할 때 가장 중요한 원칙은 공식 앱스토어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은 반드시 ‘구글 플레이 스토어’를, 아이폰은 ‘앱스토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절대로 인터넷 검색을 통해 나오는 링크나 문자 메시지 속 링크에서 앱을 설치해서는 안 됩니다. 사기꾼들은 유명한 은행이나 택배사 이름을 도용해 “앱을 설치하면 더 편리하다”라는 안내를 하면서 가짜 사이트로 유도합니다. 노인분들이 헷갈리기 쉬운 부분은 겉보기에 주소가 ‘.kr’이나 ‘.com’으로 끝나 정상처럼 보이지만 사실 뒤에 숫자와 특수문자가 섞여 있는 경우입니다. 이런 링크는 모두 의심해야 합니다. 또한 앱을 설치할 때 반드시 제작자 정보와 다운로드 수를 확인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카카오톡은 ‘Kakao Corp.’이라는 제작자가 명확히 표시되어 있으며 다운로드 수도 1억 건 이상입니다. 그러나 가짜 앱은 다운로드 수가 수백 건 이하이거나 제작자가 ‘Kakao Free Chat’ 같은 이상한 이름으로 되어 있습니다. 후기도 꼼꼼히 살펴야 합니다. 진짜 앱은 여러 사람이 구체적으로 사용 후기를 남기지만 가짜 앱은 “좋아요”, “최고예요” 같은 짧은 문장만 반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앱 설치 전 반드시 권한 요청을 확인하는 습관도 필요합니다. 단순히 손전등을 켜는 앱인데 연락처 접근 권한이나 사진 앨범 접근 권한을 요구한다면 의심해야 합니다. 권한은 앱이 기능을 수행하는 데 꼭 필요한 정보만 허용해야 하며 불필요한 권한은 거부할 수 있습니다. 노인분들이 이 부분을 헷갈려할 때는 가족이나 지인이 옆에서 함께 확인해 드리는 것이 좋습니다. 스마트폰은 편리함과 동시에 문을 잘못 열면 범죄자에게 집 열쇠를 주는 것과 같기 때문에 앱 설치 전 반드시 “이 앱이 정말 필요한 권한을 요구하는가?”를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악성 앱을 구별하고 피하는 방법

악성 앱은 보통 두 가지 방법으로 침투합니다. 첫째는 문자 메시지나 카카오톡 링크를 통해 유도하는 방식입니다. “택배 조회”, “요금 미납”, “정부 지원금 신청” 같은 문구로 긴급함을 강조하여 사용자가 생각할 틈 없이 앱을 설치하게 만듭니다. 둘째는 검색 광고를 조작하여 정상 앱과 똑같이 보이는 가짜 앱을 상단에 노출시키는 방법입니다. 노인분들이 특히 많이 속는 경우는 ‘은행 앱’을 검색할 때입니다. 진짜 앱 대신 가짜 앱을 눌러 설치하게 되면 계좌번호와 비밀번호가 고스란히 유출됩니다. 악성 앱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아이콘 모양이 비슷하지만 색상이나 세부 디자인이 다르다. 둘째 앱 이름에 불필요한 단어가 붙는다. 예: ‘우리은행 빠른 송금 New’. 셋째 다운로드 수가 적고 후기가 부자연스럽다. 넷째 설치 후 스마트폰이 갑자기 느려지거나 광고창이 계속 뜬다. 다섯째 데이터 요금이 갑자기 늘어나거나 알 수 없는 앱이 자동으로 깔린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이미 악성 앱이 설치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백신 앱 설치가 필수입니다. V3 Mobile, 알약 M 같은 신뢰할 수 있는 백신 앱은 악성 앱을 자동으로 검사하고 삭제해 줍니다. 또한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는 ‘Play 프로텍트’라는 보안 기능이 있어 앱 설치 시 위험 여부를 자동으로 검사합니다. 노인분들은 이 기능이 켜져 있는지 확인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또 하나 중요한 습관은 알 수 없는 출처 허용 금지입니다. 설정에서 ‘알 수 없는 출처의 앱 설치’를 차단해 두면 공식 스토어가 아닌 경로에서는 앱이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훨씬 안전합니다.

 

생활 속 실천 방법과 마무리

앱 설치와 관련된 보안 습관은 몇 가지 간단한 원칙만 지키면 충분합니다. 첫째 앱은 반드시 공식 앱스토어에서만 설치합니다. 둘째 설치 전 제작자·다운로드 수·후기를 확인합니다. 셋째 앱이 요구하는 권한을 꼼꼼히 살피고 불필요한 권한은 거부합니다. 넷째 문자나 인터넷 링크로 앱을 설치하지 않습니다. 다섯째 백신 앱을 반드시 설치해 주기적으로 검사합니다. 여섯째 스마트폰 설정에서 ‘알 수 없는 출처 허용’을 꺼두어야 합니다. 일곱째 새로운 앱을 설치할 때는 가족에게 보여주고 함께 확인하는 습관을 들입니다. 여덟째 사용하지 않는 앱은 정리하여 삭제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아홉째 스마트폰이 갑자기 느려지거나 요금이 이상하게 나오면 악성 앱 감염을 의심해야 합니다. 열째 의심되는 상황에서는 혼자 고민하지 말고 118(한국인터넷진흥원)이나 가족에게 즉시 알리면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은 노인분들의 삶을 더 편리하게 만들어 주지만 잘못 사용하면 위험이 따릅니다. 그러나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자동차를 탈 때 안전벨트를 매듯 앱 설치 시 몇 가지 안전 습관만 지키면 충분히 안전하게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조급하게 설치하지 않고 한 번 더 확인하는 습관입니다. 이 원칙만 기억해도 대부분의 악성 앱 피해는 막을 수 있습니다. 노인분들이 오늘부터라도 가족과 함께 안전한 앱 설치 습관을 실천해 보신다면 앞으로 스마트폰은 걱정이 아니라 즐거움과 편리함을 주는 든든한 동반자가 될 것입니다.